top of page


-
2019년 4월 27일
댓글 0개


조장천 교수, MSK 60주년 기념학회에서 미디어세션 주제발표
강연 때 하고 싶었던 말을 잘 정리해준 기자님이 고마운 기사. '쓸모없는 지식'이 인류가 진보하는 밑거름…미생물학 국내 인프라·인력 절실 18일 제주도서 '한국미생물학회 연합 국제학술대회' 개최 (제주=뉴스1) "유전학의 뿌리를 만든 '찰스...

Dr.Cho
2019년 4월 25일
댓글 0개



Dr.Cho
2019년 4월 24일
댓글 0개



Dr.Cho
2019년 4월 12일
댓글 0개


네이쳐 신규 항생제 논문에 comment하다.
세균 없애는 새 항생물질 콧속에 있어 송고시간 | 2016-07-28 02:00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항생제 내성이 있는 세균을 비롯한 다른 세균을 없앨 수 있는 새로운 종류의 항생물질이 사람의 콧속에서 발견됐다. 독일 튀빙겐대...

Dr.Cho
2016년 7월 29일
댓글 0개
변지민 기자 IF 기사에 comment 하다.
“피인용 지수(IF)로 연구자 평가, 불공정” 2016.07.11 18:00 과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평가할 때 주로 사용되는 ‘임팩트 팩터(Impact Factor·피인용 지수)’가 사실상 큰 의미가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임팩트 팩터는...

Dr.Cho
2016년 7월 12일
댓글 0개


-
2016년 5월 15일
댓글 0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서 1회심포지엄 발표하다.
담수생물 세계적 전문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 모인다 2015.11.25 14:21 [환경일보] 서효림 기자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안영희)은 11월25일부터 27일까지 경북 상주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내에서 ‘담수생물 보전 및 활용...

Dr.Cho
2015년 11월 26일
댓글 0개


-
2015년 6월 26일
댓글 0개


-
2015년 5월 15일
댓글 0개


커리어패스,진로고민 늦어도 괜찮아
현 한겨레 신문사(당신 과학동아)의 변지민 기자님께서 인터뷰 내용을 정성스럽게 작성해 주셨다. 2014 Career Path 자료집. http://path.career.go.kr/board/case/view.do?bbsSeq=127001&curP...

Dr.Cho
2015년 1월 1일
댓글 0개


동아사이언스: 신종헌터는 생물역사의 기록자
바로가기 http://dongascience.donga.com/news/view/5296 “신종헌터는 생물역사의 기록자” 2014.10.14 13:39 “신종헌터는 실험실 밖으로 나가 세상을 탐험하는 과학자입니다. 과학동아 10월호 특집 기사에서...

Dr.Cho
2014년 10월 15일
댓글 0개


한미생 소식지에 실린 연구실 소개
2014년 7월에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소식지의 KMB 실험실 탐방에 우리 연구실 MEMB 내용이 실렸다. 링크는 아래. http://www.e-bioindustry.or.kr/board/list.html?code=intro_lab&num=91

Dr.Cho
2014년 8월 1일
댓글 0개


KBS 뉴스에 등장한 Puniceiphage
이은정 기자가 취재에 수고한 Puniceispirillum infecting bacteriophage가 KBS 뉴스에 등장하였다. 링크 http://news.kbs.co.kr/news/view.do?ref=A&ncd=2683995

Dr.Cho
2013년 7월 5일
댓글 0개


SAR116 파지가 동해에서 분리. PNAS 게재
아래는 연합뉴스 기사입니다.

Dr.Cho
2013년 7월 2일
댓글 0개
어부지리로 Opitutae 홍보하다
임완택 교수님께서 발표한 Fimbriimonadia 강이 우리 연구실에서 명명한 Opitutae 에 이어 5년만에 새로운 강으로 등록되었다는 신문 해설 기사. 원문보기 http://www.upkorea.net/news/articleView.htm...

Dr.Cho
2012년 7월 3일
댓글 0개
2007년 IJSEM 다수 논문 결과
박테리아 강국 코리아? 신종박테리아 발표 3년 연속 1위 기사입력 2008.07.21. 오후 12:13 【서울=메디컬투데이/뉴시스】 정부는 지난해 영국의 세계적 미생물학술지인 IJSEM(국제 미생물계통분류학회지)에 등록한 '박테리아 신종' 발표...

Dr.Cho
2008년 7월 23일
댓글 0개


2006년 제1회 미생물다양성 워크샾
2006년 8월 31 - 9월 2일. 평창

Dr.Cho
2006년 8월 31일
댓글 0개


2006년 KMB 학회 환경미생물분과
2006. 06. 19

Dr.Cho
2006년 6월 19일
댓글 0개


2006년 MSK 학회
2006. 05. 02. MSK 학회
-
2006년 5월 2일
댓글 0개


SAR11 Proteorhodopsin 연관 뉴스
기사가 인터뷰이의 의도를 다소 왜곡한 사례라 할 수 있다. 빛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특이 단백질 발견 기사입력 2005.11.03. 오전 9:03 `밥' 안 줘도 잘 자라는 효소 연구 등에 실마리 << 편집자주: 11월 3일 오전 3시 엠바고는...

Dr.Cho
2005년 11월 5일
댓글 0개


2005년 강화 샘플링
2005년 9월 6일 강화 동검도 갯벌, 갯지렁이 시료 채취
-
2005년 9월 9일
댓글 0개


신종세균과 미생물 명명법, 경향신문
신종 세균 발견자가 작명 ‘출생부’ 등록 페이스북 공유하기트위터 공유하기공유 더보기입력 : 2004.10.24 17:27인쇄글자 작게글자 크게 최근 한국 과학자들이 신종 세균을 잇달아 발견하면서 익숙지 않은 세균의 이름이 뉴스에 오르내리고 있다....

Dr.Cho
2004년 10월 25일
댓글 0개


세균문 23번째 발견, 경향신문 1면 톱기사로 보도
한국인 과학자 ‘23번째 門’ 박테리아 첫 발견 2004.08.08 18:03 한국인 과학자가 바다눈을 만드는 과정에 관여하는 신종 미생물을 발견, 새로운 문(門·Phylum)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이번에 발견한 미생물은 150년의...

Dr.Cho
2004년 8월 10일
댓글 0개
bottom of page